검색
닫기
검색

뉴스콤

메뉴

뉴스콤

닫기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2%로 둔화된 CPI와 금리인하 타이밍

장태민 기자

기사입력 : 2024-09-03 11:17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2%로 둔화된 CPI와 금리인하 타이밍
[뉴스콤 장태민 기자]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비 2.0%로 둔화됐다.

지난 2021년 3월(1.9%) 이후 3년 5개월, 즉 41개월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은, 기재부 등 당국도 물가의 하향 안정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중기목표 수준으로 낮아지면서 연준의 9월 인하 이후 한은의 인하도 멀지 않았다는 평가들도 나오지만, '금융안정' 이슈가 금리 인하의 걸림돌로 꼽힌다.

■ CPI 상승률 2% 도달


3일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비 2.0%를 기록했다.

이 상승률은 2021년 3월(1.9%) 이후 3년 5개월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최근 전년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월 3.1%, 4월 2.9%, 5월 2.7%, 6월 2.4%로 둔화되다가 7월엔 2.6%로 반등한 바 있다. 이후 8월엔 2.0%까지 떨어진 것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꾸준히 둔화되고 있다.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1%, 전월대비 0.1% 상승했다. 전년비 상승률은 5~7월 2.2%에 묶여 있었지만 8월엔 0.1%p 가량 낮아진 것이다.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9%, 전월대비 0.1% 올랐다.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7월에 2.1%로 오름폭을 약간 키우기도 했지만, 8월엔 1%대로 진입한 것이다.

■ 한국 물가 안정 흐름 지속될 것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2.0%)은 근원물가(2.1%)가 소폭 낮아진 가운데 석유류·농산물가격이 큰 폭 둔화되면서 전월대비 0.6%p 하락했다고 밝혔다.

석유류가격은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오름폭이 상당폭 축소됐고 농산물가격 상승률은 폭염에 따른 일부 채소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햇과일 출하 등으로 둔화 흐름을 지속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그간 높은 수준을 지속하였던 생활물가 상승률도 2%대 초반으로 큰 폭 하락했다고 밝혔다.

한은 경제담당 부총재보는 물가 상승률이 지금과 비슷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초 예상대로 근원물가가 안정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지난해 유가농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하면서 2%로 낮아졌다"면서 "앞으로도 물가상승률은 큰 공급충격이 없다면 당분간 현재와 비슷한 수준에서 안정된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부총재보는 "그동안 고물가로 국민들의 고통이 컸지만 디스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진전되면서 주요 선진국에 비해 물가가 빠르게 안정되고 있다"면서 "이는 그간 한국은행의 선제적 금리인상 등 적극적 통화정책, 정부의 물가안정대책 및 건전재정 기조 등이 기여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헤드라인 물가 상승률을 보면 한국이 2.0%(8월), 미국이 2.9%(7월), 유로존이 2.2%(8월)다. 코어 물가 상승률은 한국이 2.1%(8월), 미국이 3.2%(7월), 유로존이 2.8%(8월)다.

정부는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면서도 물가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재부는 "향후에도 기상이변이나 국제유가 불안 등 추가적인 충격이 없으면 2% 초반의 물가 안정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재부는 "정부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물가안정 기조의 확고한 정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추석이 다가오면서 성수품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배추·무, 사과·배 등 20대 성수품을 역대 최대인 17만톤 공급하고 700억원 규모의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을 추진하는 등 물가안정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물가안정 흐름...관건은 부동산·가계대출이란 인식도 강해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지면서 금리인하가 다가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통화당국은 금리 인하 여건이 조성됐다고 보면서도 통화 완화가 부동산 가격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하고 있다.

지난 달 22일 금통위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물가상승률만 봐서는 목표 수준에 수렴할 것이라는 것에 대해서 조금 더 확신을 갖게 됐다. 또 사실 작년 동기의 높았던 농수산물 가격을 봤을 때 앞으로 몇 달간은 수렴 속도가 오히려 더 빨라질 것으로 본다"면서 "물가 수준만 봤을 때는 금리 인하 여건이 조성됐다고 판단하는 쪽으로 가고 있다"고 했다.

총재는 그러나 "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부동산 가격과 그로 인한 가계부채 증가에 지금 위험 신호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 이 상충관계를 보고 있을 때 내수는 좀 시간을 가지고 우리가 대응할 수 있다"면서 "반면 금융안정 면에서는 지금 들어오는 시그널을 지금 막지 않으면 조금 더 위험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는 그런 상충관계를 보고 판단한다는 게 금통위원들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물가 안정 속 내수 둔화를 감안할 때 금리를 내릴 수 있지만 지금 당장은 금융안정 이슈, 즉 부동산 문제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입장을 드러낸 것이다.

당장 향후 3개월 시계에선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4명이 '금리 인하를 열어둘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나머지 2명은 3개월 후에도 3.5%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다.

금융시장이 이번주 미국 고용지표를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연준의 금리인하 폭 선택 역시 중요하다.

증권사의 한 딜러는 "물가는 확실히 금리 인하를 지지하나 한은이 금융안정을 강조하는 시절이어서 10월 인하가 가능할지 애매한 부분이 있다"면서 "연준이 9월에 빅컷을 한다면 한국의 10월 인하가 가능할 것이나, 25bp 인하 시엔 10월에 내릴지 좀 애매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시장 흐름에 따라 인하 시기가 결정될 것이란 예상도 강하다.

정부가 다시 대출을 옥죄고 있는 가운데 그 효과 등을 감안할 때 10월보다 11월 인하 가능성이 더 높다는 평가들도 보인다.

다른 증권사 딜러는 "지금은 금리 인하 타이밍과 관련해 물가보다는 대출이나 부동산 시장 추이를 봐야 한다"면서 "오늘 물가가 낮게 나왔지만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조만간 나올 가계대출 데이터는 더 늘었을 게 확실하다. 따라서 10월 인하는 어렵다고 봐야 하다"면서 "한국의 인하는 미국 인하를 본 뒤 10월보다 11월 확률이 높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다른 딜러는 "부동산 때문에 한은이 인하를 못하겠다고 한다. 물가는 현재 (정책 결정에) 큰 비중이 없다"고 주장했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