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채권시장이 3일 해외 금리 상승 경계감과 저가 매수 사이에서 적정 레벨을 찾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전날 국내시장은 아시아장의 미국 금리가 오르는 모습을 보면서 긴장했으며, 간밤 미국 시장은 최근 유럽 지역의 금리 상승이 심상치 않은 상황임을 경계했다.
전날 4.9조원 규모의 국고30년 입찰은 일각의 우려와 반대로 무난했다.
시장에선 대외 금리 상황을 보면서 밀리면 사자는 식의 저가매수 대응이 유효하다는 진단들도 나오는 중이다.
■ 美금리, 유럽 우려와 관세 위헌 논란 속에 상승...뉴욕 주가 하락
미국채 금리는 2일 상승했다.
최근 영국, 유로존 등 유럽 재정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부상한 가운데 미국도 관세 위헌 논란이 이는 가운데 금리가 상승했다.
코스콤 CHECK(3931)에 따르면 미국채10년물 금리는 2.95bp 오른 4.2590%, 국채30년물 수익률은 3.00bp 상승한 4.9570%를 기록했다. 국채2년물은 2.00bp 상승한 3.6370%, 국채5년물은 2.55bp 오른 3.7200%를 나타냈다.
뉴욕 주가지수는 관세 불확실성 속에 금리 상승을 보면서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249.07포인트(0.55%) 내린 45,295.81에 장을 마쳤다. S&P500은 44.72포인트(0.69%) 낮아진 6,415.54, 나스닥은 175.92포인트(0.82%) 내린 21,279.63을 나타냈다.
S&P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가운데 8개가 약해졌다. 부동산주가 1.7%, 산업주는 1.1%, 정보기술주는 1% 각각 내렸다. 반면 에너지주는 0.2%, 필수소비재주는 0.1% 각각 올랐다.
개별 종목 중 엔비디아가 1.9% 하락해 4일 연속 내렸다. 테슬라는 1.4%, 아마존도 1.6% 각각 하락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1% 낮아졌다. 반면 펩시코는 엘리엇매니지먼트의 40억달러 지분 인수 호재에 힘입어 1.1% 올랐다. 저가 항공사인 프론티어그룹은 파산보호신청 소식에 14% 뛰었다.
달러가격은 상승했다. 유럽 주요국 재정적자 우려로 유로화 및 파운드화 가치가 압박을 받은 덕분이다.
달러인덱스는 전장 대비 0.59% 높아진 98.34에 거래됐다. 유로/달러는 0.60% 낮아진 1.1642달러, 파운드/달러는 1.12% 내린 1.3393달러를 기록했다.
달러/엔은 0.79% 오른 148.35엔에 거래됐다. 이시바 정권 핵심이던 모리야마 히로시 간사장 등 당 핵심 지도부가 선거 참패 책임을 지겠다며 잇따라 사의를 표명했다.
달러/위안 역외환율은 0.07% 상승한 7.1385위안에 거래됐다. 원자재 통화인 호주 달러화는 미 달러화에 0.52% 약세를 나타냈다.
국제유가는 러-우 전쟁이 휴전 협상 속에서도 다시 격화되는 모습을 보면서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 선물은 전장 대비 1.58달러(2.5%) 급등한 배럴당 65.59달러를 기록했다.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선물은 0.99달러(1.5%) 상승한 배럴당 69.14달러에 거래됐다.
■ ISM 제조업 예상 하회...최근 전반적인 흐름은
미국의 8월 제조업 PMI가 예상을 밑돌았다.
2일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에 따르면, 8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48.7로 전월보다 0.7포인트 올랐지만 예상치(49.0)는 밑돌았다.
지난 3월 49.0을 시작으로 6개월 연속으로 업황 확장과 위축을 가르는 기준선 50을 밑도는 중이다.
2024년 3월 제조업 PMI는 50.3으로 2022년 10월(50.2) 이후 17개월 만에 50을 웃돌았다. 2022년 11월(49.0) 이후 2024년 2월(47.8)까지 16개월 연속으로 50을 밑도는 경기 수축 국면에 머문 이후 17개월 만에 경기 확대 국면으로 전환한 바 있다.
제조업 PMI는 작년 4월에 49.2로 위축 국면으로 전환한 이후 5월 48.7, 6월 48.5, 7월 46.8을 기록했다. 이후 8, 9월 47.2를 기록하고 10, 11, 12월에도 각각 46.5, 48.4, 49.3을 기록해 9개월 연속 위축 국면에 머물렀다.
올해로 들어서면서 1월과 2월 각각 50.9, 50.3을 기록하며 2개월 연속 확장 국면에 머물며 회복세를 보였다. 다만 3월 49.0으로 3개월 만에 경기 수축으로 전환한 이후 4월 48.7, 5월 48.5, 6월 49.0, 7월 48.0 그리고 8월에도 48.7을 기록하며 6개월 연속 50을 하회했다.
ISM 제조업 서베이 위원회의 수잔 스펜스 의장은 "8월 미국 제조업 활동은 다소 완만한 속도로 위축세를 이어갔다. 신규주문지수가 상승하면서 전월대비 PMI가 0.7포인트 상승했다. 생산은 신규 주문 증가폭과 거의 비슷한 감소폭을 보이면서 PMI 상승을 제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조업 부문은 8월 해당 부문 GDP의 69%가 위축돼 7월 79%보다 낮아졌다. GDP의 4%가 강한 위축 국면(종합 PMI 45 이하)에 진입했으며, 이는 7월 31%보다 낮아진 수치다. 6대 주요 제조업 중 2개 부문(식품·음료·담배 제품과 석유·석탄 제품)이 8월 확장세를 보였으며, 이는 7월(0개 부문) 대비 늘어난 수치"라고 밝혔다.
■ 유럽 지역 금리 상승...유럽 강대국들의 재정건전성 우려
재정적자 등으로 다시금 의심을 받고 있는 영국, 프랑스 등의 금리는 상승세를 이어갔다.
영국10년물 금리는 한달 전(8월4일)만 하더라도 4.59%를 기록하면서 4.5%대를 나타냈지만 9월 2일 현재 4.9044%를 기록하면서 4.9%를 넘어섰다.
간밤 영국 금리는 5.67bp 상승해 5%를 향해 나가는 중이다. 영국30년물 금리 레벨은 5.7%에 달할 정도로 높다.
프랑스 금리도 최근 3일 연속 상승하면서 경계감을 키우고 있다. 프랑스 10년물 금리는 2일 5.28bp 오른 3.5824%를 나타냈다.
영국과 프랑스는 재정건정성에 대한 우려를 크게 받고 있는 나라들이다.
이 나라들은 재정정책에 대한 불신을 받고 있으며 최근엔 예산안 처리 등을 앞고 정치적인 불안도 커졌다.
유럽 주요국들이 수급 부담과 신용 우려를 동시에 받고 있다.
심지어 시장 일각에선 이 유럽의 강국들이 재정 위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구제 금융을 받을 수 있다는 걱정도 하는 중이다.
유럽 권역의 가장 큰 경제대국 독일 금리도 3일 연속 올랐다. 독일10년물 금리는 4.04bp 상승한 2.7862%를 나타냈다.
분트채가 2%대 후반으로 향해 나아가고 길트채는 5%를 겨냥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OAT는 3.5%를 넘어선 상태다.
■ 유럽 재정 보면서 한국 재정 걱정하기도...관건은 '마중물' 효과
최근 유럽지역의 재정 건전성 논란을 보면서 국내 재정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들려온다.
지난주 금요일 정부는 예산안과 함께 중기 재정 로드맵을 발표한 상태다.
정부는 관리재정수지 적자를 2025~2029년 기간 중 GDP 대비 4%대 초반 수준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그간 정부나 정치권 일각에서 재정준칙, GDP 대비 3% 이내의 관리 등을 외치기도 했지만, 상당히 느슨해져 버린 측면이 있다.
올해 재정수지 적자는 추경을 거치면서 △4.2% 수준으로 예상된다. 2029년에도 △4%대 초반 수준을 예상하고 있다.
GDP 대비 적자비율은 올해 본예산 기준으로 48.1%에서 2회의 추경을 거친 뒤 49.1%로 상향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년엔 드디어 50%를 넘어 51.6% 수준이 예상되고 있다.
그런 뒤 2029년엔 GDP 대비 58.0%로 올라 60%를 바라보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과거 박근혜 정부 시절 GDP 대비 국가부채비율이 40%를 넘어선 안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지만, 문재인 정부 시절 이런 주장을 이미 폐기처분했다. 이젠 이재명 정부를 꾸리면서 60% 가까이 올려도 '괜찮다'고 보고 있다.
정부와 여당은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마중물을 아낄 수는 없는 노릇이란 입장이다.
최근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중장기적으로는 잠재성장률이 하락하고 있어 AI 대전환 및 초혁신경제 구현을 위한 정책노력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예산 증액의 불가피성을 거듭 강조한 바 있다.
이달 들어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1일 "'적극재정→성장→지속 가능한 재정’을 통하면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자신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전날 "이번 예산을 통해 2026년 잠재성장률은 1.8%로, 그리고 2030년 잠재성장률을 3%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자신했다.
하지만 정부와 여당의 말대로 성과물을 내지 못할 경우 한국 재정건전성도 빠르게 악화될 수 있어 이재명 정부 확장 재정정책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