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신동수 기자]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서비스 수출이 새로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무형자산의 가치와 서비스 부문의 발전 잠재력을 재인식하고 제조설비‧건설 부문 중심의 투자 행태에서 벗어나 서비스 부문에 대한 투자를 적극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20일 '우리나라 서비스 수출 현황과 나아갈 방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교역에서 상품교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든 반면, 서비스교역의 비중은 2011년 19.4%에서 2023년 24.1%으로 증가하는 등 그 중요성이 크게 증가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서비스 수출은 그동안 주요국에 비해 성장이 더디고 시장점유율도 낮은 수준에 그쳤다.
대외적으로 법률‧컨설팅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은 선진국들에, 아웃소싱 등 저임금 기반 서비스업에서는 중국‧인도 등에 경쟁력이 뒤처졌고 대내적으로는 우리 서비스 수출이 주로 상품 수출을 보조운송‧판매지원 등하는 역할에 그치고 글로벌 공급망GVC에 적극 참여할 수 있을 정도의 경쟁력도 갖추지 못했던 데 주로 기인했다.
다만 한은은 전반적인 서비스 수출의 성장은 더뎠지만, 일부 분야에서는 빠른 성장 가능성도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식서비스 분야에서의 수출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이보다 더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25.3월부터 새롭게 편제‧발표하는 지식서비스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우리 지식서비스 수출은 연평균(2010년~2024년) 13.4% 증가하면서 전체 서비스 수출 증가(+3.8%)를 견인했다.
지식서비스 수출은 지식재산권 사용료전체 지식서비스의 54.0%, 전문‧사업 서비스27.0%, 정보‧통신 서비스14.1%, 문화‧여가 서비스 4.9%로 구분되는데, 이들 모두 두자릿수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한은은 "우리 지식서비스 수출의 높은 성장세는 크게 제조업과 서비스의 융합 트렌드 확산, K-POP, 웹툰, 게임 등 문화 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등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했다.
전기·전자 등 주력 제조업에서 뛰어난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제조상품과 서비스간 융합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제품의 부가가치가 높아지고 제조부문과는 별개로 문화‧예술 콘텐츠 분야에서 창의적인 제작자‧가수‧배우들이 주목을 받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다만 앞으로 우리 서비스 수출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원천기술 기반의 지재권 비중이 낮은점, 지재권 확보 및 이에 따른 콘텐츠 확장과 고수익 창출에 한계, 추가적인 성장을 제약하는 각종 규제 등의 문제점 등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기업들은 데이터, 지식재산권 등 무형자산의 가치와 서비스 부문의 발전 잠재력을 재인식하고 그간의 제조설비‧건설 부문 중심의 투자 행태에서 벗어나 서비스 부문에 대한 투자도 적극 확대해야 한다"며 "이러한 투자는 서비스 품질 제고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이러한 기업들의 노력은 정부의 과감한 규제완화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며 "정부는 업종간 경계를 허물어 기업들의 활발한 융합활동 및 신규사업 발굴에 많은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이에 더해 원천기술 연구개발, 문화‧예술 창작 등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낼 인재들을 조기에 발굴하여, 지원하고 양성하는 역할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신동수 기자 dsshin@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