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20일 "BOJ가 인플레이션 상방위험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으며 우에다 총재의 회견도 매파적으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김찬희 연구원은 "일은은 경제와 물가에 대한 판단을 유지했으며 7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같이 평가했다.
BOJ는 3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정책금리를 만장일치로 0.50% 동결 결정했다. 1월 25bp 정책금리 인상 당시 1명의 동결 소수의견이 있었으나 이번에는 모든 위원들의 의견이 일치됐다. 금리 인상 이후 정책 효과를 관찰하는 구간이다.
김 연구원은 "3월 통화정책회의 성명서에서 경기 및 물가에 대한 판단은 대체로 유지됐다"고 풀이했다.
BOJ는 경제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주택 투자 등 일부 부문에서 약세가 관찰된다고 언급했다. 물가의 경우 단기적으로 수입물가는 안정됐으나 정부의 에너지 보조금 축소 등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대외 정책 불확실성 및 기업들의 가격 인상 행태로 환율 변동이 과거보다 물가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점 또한 재차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우에다 총재 기자회견은 매파적이었다"면서 "기저(Underlying) 인플레이션은 1~2% 범위로 추정한다고 발언해 중장기적 측면에서 현재의 완화적인 정책 기조를 좀더 유지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했다"고 분석했다.
단기적인 정책 경로를 가늠할 수 있는 춘투 임금 협상결과 및 물가와 관련해 상방 위험에 무게를 두며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해석했다.
그는 "BOJ는 춘투 임금 협상 결과가 기대에 부합하거나 좀 더 강력했다고 평가했고, 일부 위원들이 물가 상방 위험의 경계 필요성을 언급했다고 발언했다"고 밝혔다.
BOJ는 장기금리 상승에 대한 질문에 시장에서 결정되는 것이라며 현재의 움직임에 따른 금리 인상 제약은 없을 것을 암시했다.
BOJ의 금리 동결은 예상한 대로였지만 일본 중앙은행은 에너지 보조금 종료 영향 및 쌀 가격 상승 등 인플레이션 불안 요인이 상존해 상방 위험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김 연구원은 "BOJ는 불확실한 대내외 변수와 제한된 경기 회복 강도를 감안해 완화적 정책 기조를 점진적으로 거둬들이고자 한다"면서 "기저 인플레이션은 아직 1~2% 범위에 머물러 추가적인 부양의 필요성이 남아있고 경제가 악화될 경우 금리 인상 하지 않을 의사도 밝힌 상태"라고 밝혔다.
2분기는 소비 회복을 확인하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춘투 임금 협상은 1차 집계(대기업 위주)에서 2년 연속 5%대 임금 인상에 합의해 향후 중소기업으로 온기 확산이 관건이다.
김 연구원은 "실질임금 상승 및 소비 회복이 본격화되는 시점은 2분기 말에서 3분기부터로 예상돼 다음 금리 인상은 7월이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다만 2분기 중 대내외 변수로 인한 공급 측 물가 상승 압력이 부각돼 3%대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경우 조기 인상 역시 염두에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