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김경목 기자]
현금결제를 받지 않는 상점ㆍ서비스 증가로 인한 불편이 디지털 소외 계층에게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국은행이 31일 밝혔다.
이경태 한은 금융통화연구실 부연구위원은 "현금결제를 받지 않는 상점ㆍ서비스의 증가로 인한 불편이 디지털 소외 계층에게 상대적으로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며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현금결제 수용성을 높이는 정책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지급결제수단 도입시 디지털 소외계층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금융ㆍ경제의 디지털화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속화되면서 디지털 격차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이해도와 현금ㆍ모바일결제 등 지급결제수단 간의 관계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위원은 "이번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비대면결제를 크게 확산시킨 외생적인 충격이었다는 점에 착안해 이렇게 디지털화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들도 변화된 지급결제 환경에 잘 적응하는지 살펴보았다"고 했다.
분석 결과,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는 코로나19와 같이 비대면 결제방식이 외생적으로 강제되는 상황 하에서도 현금을 계속 이용하려는 성향이 매우 강했으며 모바일금융서비스로 이행하는 정도도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기간 중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휴대 현금을 줄일 확률은 평균 16%에 불과했다. 한편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가 휴대 현금을 줄일 확률은 26%였다.
또한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을 늘릴 확률은 32%에 불과해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46%)에 비해 14%p 낮았다.
그는 "시뮬레이션 결과 현금 결제를 받지 않는 상점ㆍ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디지털 이해도가 낮을수록 소비자 후생 감소가 더 클 것으로 예측됐다"며 "특히 여타 연령층에 비해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소비자 후생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