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4일 "금융시장은 2분기 중 펀더멘탈 충격 확인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석중 연구원은"비미국 교역 위축뿐만 아니라 선제적 재고 축적 마무리에 따른 성장 둔화 압력 노출이 불가피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다만 부양책 집행에 하방 압력 일부는 상쇄 가능하다고 했다.
박 연구원은 "보복관세로 대응하지 않는 한 물가 충격이 제한돼 중립금리 이하의 정책금리 인하 및 확장 재정이 동반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단기 성장 충격 완화 경로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미국은 단기보다 중장기에 걸친 성장 충격이 우려된다. 상대적으로 낮은 교역 의존도로 관세에 따른 직접적 수출 감소보다 관세 비용 부담에 따른 내수 위축, 물가압력 점진적 확대 등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1년 이상에 걸쳐 관세 부과로 인한 부담이 물가 전이되며 소비+투자 위축을 야기해 성장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성장 하방 위험에도 물가 상방 위험에 정책 대응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세 정책이 야기한 장기 기대인플레이션 압력 유지되는 만큼 경기 둔화 상쇄할 정도의 적극적 통화정책 및 확장 재정 기대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했다. 따라서 중장기적으로 미국은 여타 국가보다 경제적 충격 확대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 1기 때와는 다른 관세정책
트럼프는 예상보다 높은 수준의 상호관세를 강행했다.
박 연구원은 "관세 정책은 불확실성 확산과 해소의 경로를 거치겠지만 1기 관세 정책 영향과의 뚜렷한 차이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협상 과정을 거치겠지만 영구적 관세 상향 의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실물경기와 기업이익 충격이 불가피하다. 관세부과 대상국의 보복관세와 금융, 지정학 불안의 추가 위험 소화 과정도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3개월 이상의 시각에서 대응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관세를 위험자산이 가격에 온전히 반영치 못했고 국면 전환 이벤트도 부재하다. 4월 가격조정 이후 기간조정 경로를 예상(≠V자형 반등)할 수 있다"고 했다.
5월 이후 변수는 미국 통화정책과 비미국 재정정책이라고 했다.
그는 "국가별 주식시장 가격 부담 차이가 존재하고 부양책 집행 강도에 따른 자산가격 차별화(=복원 강도)가 주안점"이라며 "미국+기술주 중심 포트폴리오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가격 하방이 제한적이며 펀더멘탈이 상대 우위인 중국, 한국을 선호한다. 인플레 우려 잔존에도 채권 상대 매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채권 캐리 매력 주목해 미국 국채를 최선호한다. 점진적 듀레이션 확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