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KBS [뉴스콤 김경목 기자]
‘경제안보=국가안보’ 강조… 美 산업정책, 글로벌 공급망 재편 신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들과의 경제안보 동맹 강화를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와 조선업, 에너지 등 한국이 경쟁우위를 가진 전략 산업군을 거론하며 “한국과의 협력 확대가 양국의 번영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발언은 단순한 외교적 수사가 아니라, 미국이 추진 중인 공급망 재편 전략과 산업정책의 중심축에 한국을 위치시키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
반도체·조선 협력 “양국 산업 부흥의 연결고리”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경주에서 열린 ‘2025 APEC 정상회의’ CEO 서밋 연설에서 “한국과 미국은 진지한 동맹국으로 특별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그 관계는 더욱 공고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조선산업은 세계적으로 성공적인 모델이며, 미국 역시 조선산업 재건을 위해 한국과 협력할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며 “조선산업의 부흥은 양국 모두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반도체 동맹’에 이어 ‘조선·에너지 연합’까지 포괄하는 산업안보 파트너십 구상으로, 미국의 제조 부활 전략과 한국의 첨단기술 기반 수출구조가 맞물릴 수 있는 대목이다.
■
“규제 완화·법인세 인하로 투자 확대”…美 자본, 동맹국 중심으로 이동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내 투자환경 개선 성과도 강조했다.
그는 “법인세를 39%에서 21%로 인하했고, 규제를 30:1 비율로 철폐했다”며 “이제 새로운 에너지·광산 프로젝트는 28일 내 승인된다. 지금이 미국 투자 적기”라고 말했다.
그는 “애플, 현대차, 아마존, 구글, 오라클 등 글로벌 대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고 있다”며 “현재 약 18조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가 계획되어 있으며, 재임 첫해 안에 20~21조 달러 수준의 투자가 실현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내 ‘친동맹 투자유치’ 전략의 일환으로 한국 기업들의 현지 생산 확대와 기술협력 강화가 가속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
“경제안보=국가안보”…공급망·에너지 동맹 본격화
트럼프 대통령은 “강력한 산업 부흥을 통해 위대한 미국을 다시 세울 것”이라며 “반도체, 에너지, 희토류, 제약산업 등 핵심 전략 분야에서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과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과거 미국은 관료주의에 묶여 있었지만, 이제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나라가 됐다”며 “‘경제안보는 곧 국가안보(Economic Security is National Security)’라는 원칙을 실현 중”이라고 말했다.
이는 에너지 안보, 첨단소재, 반도체 공급망을 축으로 한 경제동맹의 제도화 방향을 시사한다. 동시에 중국과의 무역 긴장을 완화하면서도 ‘동맹 중심의 블록형 경제체제’ 구축을 가속화하겠다는 전략적 메시지로 풀이된다.
■
“전쟁보다 협력”…미·중 무역 협상과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을 앞두고 “싸우지 않고 타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협상은 한국에도 긍정적일 것”이라며 양국 간 긴장 완화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관세 정책을 통해 무역협정을 체결하고 미국 무역적자를 향후 4조달러 줄일 것”이라며 “무역적자와 부채를 동시에 늘리는 시대는 끝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 간 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지정학 갈등에 대해서도 “무력 대신 협상을 통한 안정이 우선”이라며 경제적 연계성을 기반으로 한 ‘무역을 통한 평화’ 구상을 제시했다.
■
“연준 의장 교체 예고”…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시사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경제의 견조한 성장세를 언급하며 “주식시장이 45차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2분기 GDP 성장률은 3.8%로 예상의 4배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곧 교체될 것이며, 새로운 인물이 금리정책을 맡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3년간 금리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금리인하 기대감과 함께 글로벌 유동성 확대 가능성을 열어두는 발언으로, 한국 등 신흥국 금융시장에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시장 관계자들은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단순한 정치적 제스처가 아닌, 미국의 산업안보 전략 속에서 한국이 핵심 기술·생산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한 신호로 본다.
이들은 "미국의 반도체·조선·에너지 동맹 구상은 한국의 기술력과 산업 구조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다”며 “한미 간 기술·자본·공급망 연계가 본격화될 경우, 한국의 수출 및 투자 사이클 회복세가 강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