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김경목 기자] 2025년 2/4분기말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 Net IIP)은 1조 304억달러로 전분기말(1조 840억달러)에 비해 536억달러 감소했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외금융 자산 증가폭보다 부채 증가폭이 더욱 확대돼 순대외금융자산이 2분기 536억달러 줄면서 지난 1분기 181억달러 감소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한은 경제통계1국 국외투자통계팀 임인혁 팀장은 "순대외금융자산 잔액이 2분기 연속 감소한 것은 국내주가 상승으로 자산과 부채가 모두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대외금융부채 증가폭이 대외금융자산 증가폭을 상회한 결과"라며 "대외금융자산은 해외 직접투자 및 증권투자가 확대되고 미증시도 호조를 보이면서 1651억달러 증가했다. 대외금융부채는 국내주가가 미국주가 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큰 폭 상승하고 외국인 채권 매수도 확대돼 증가폭이 대외금융자산 증가폭을 크게 웃도는 2186억달러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2/4분기말 대외금융자산은 2조 6,818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1,651억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는 지분투자(+229억달러)를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264억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지분증권(+956억달러)을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1,132억달러 증가했다.
임 팀장은 "직접투자 증가는 자동차, 2차전지 업종의 해외지분 투자가 계속되고 미달러화 약세로 기타통화 표시 직접투자자간의 달러 환산액이 늘면서 거래요인, 비거래요인 모두 플러스를 보인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대외금융부채는 1조 6,514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2,186억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는 지분투자(+240억달러)를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261억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국내 주가의 큰 폭 상승, 외국인 부채성증권 투자 확대 등으로 전분기말 대비 1,860억달러 증가했다.
그는 "직접투자 증가는 원화 강세로 원화표시 부채의 미달러화 환산액이 늘면서 비거래요인이 확대된 데 주로 기인한다"고 했다.
순대외채권은 3,572억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107억달러 감소하며 2분기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대외채권은 1조 928억달러로 전분기말(1조 513억달러) 대비 414억달러 증가했다.
만기별로 단기 대외채권과 장기 대외채권은 각각 184억달러, 231억달러 증가했다.
단기 대외채권은 예금취급기관의 대출금(+79억달러)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장기 대외채권은 기타부문의 부채성증권(+129억달러)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부문별로 기타부문(+229억달러), 예금취급기관(+134억달러), 일반정부(+46억달러), 중앙은행(+6억달러) 모두 증가했다.
대외채무는 7,356억달러로 전분기말(6,834억달러) 대비 521억달러 증가했다.
만기별로 단기외채와 장기외채는 각각 177억달러, 344억달러 증가했다. 단기외채와 장기외채 증가는 모두 부채성증권(각각 +76억달러, +307억달러)이 주도했다.
부문별로 일반정부(+302억달러), 예금취급기관(+112억달러), 기타부문(+86억달러), 중앙은행(+22억달러) 모두 증가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