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닫기
검색

뉴스콤

메뉴

뉴스콤

닫기

주주환원 확대, 기업가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어 - 한은

김경목 기자

기사입력 : 2025-03-17 12:00

주주환원 확대, 기업가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어 - 한은
[뉴스콤 김경목 기자]

우리나라에서 주주환원 확대가 기업가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국민소득총괄팀 김선임 차장은 17일 '주주환원 정책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주주보호가 취약한 우리나라에서는 주주환원 확대가 기업가치 제고에 효과적일 수 있다"며 "또한 중장기적으로 일반주주 보호, 기업 분할・합병 과정에서의 투자자 신뢰 제고 등을 위한 기업지배구조 개선 노력을 꾸준히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아울러, 기업에 대한 시장평가가 적절히 이뤄지도록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주주환원 확대, 투자계획 공시 등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주주환원이 자본적지출을 제약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고성장 산업의 경우 자본적지출이 기업가치에 중요한 요소인 만큼 밸류업 지수 구성 등에 있어 업종 특성을 고려하여 주주환원 외에 자본투자 계획에 대해서도 적절히 평가하여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차장은 "기업지배구조 개선 노력을 지속하며 주주환원 강화를 유도하는 가운데 성장 속도가 빠른 산업의 자본적지출 확대를 통한 주주이익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가 병행되는 구조를 정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국제 비교시 우리나라 기업가치 성장성・안정성에 비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주주보호 및 주주환원 수준도 상대적으로 미흡

최근 우리나라 기업 밸류업 방안으로 배당 및 자사주 매입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러한 주주환원 확대가 기업가치 제고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긍정 측에서는 우리나라의 기업가치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취약한 지배구조와 함께 낮은 주주환원이 지적되고 있는 만큼, 주주환원 강화는 기업 주식에 대한 장기적・안정적인 투자유인을 제고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신중하자는 측에서는 주주환원 확대로 인한 여유자금 감소는 기업의 유·무형 자산 취득(설비, R&D 투자 등)을 위한 투자지출을 제약하고 재무 안정성 약화 등을 초래할 수 있어 기업가치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음을 지적했다.

김 차장은 "우리나라의 주주보호 및 기업경영 현황을 국제 비교를 통해 살펴본 뒤 주주환원 확대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했다"고 이번 보고서 검토 배경을 설명했다.

국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기업가치는 성장성・안정성에 비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주주보호 및 주주환원 수준도 상대적으로 미흡했다고 밝혔다. 현금성자산은 취약한 주주보호 수준과 주주환원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자본적지출 등으로 분석대상 국가 중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주주보호 수준이 높을수록 주주환원이 확대, 현금성자산 보유 규모는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주환원 규모가 클수록 기업가치가 상승하고 현금성자산은 주주보호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기업가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주주보호가 취약한 그룹에서 주주환원의 기업가치 제고효과가 뚜렷했다.

대규모 자본적지출이 필요한 산업의 경우 주주환원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한편 주주보호 또는 주주환원 정도와 관계없이 기업의 자본적지출은 기업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