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5일 "금융권의 건설·부동산 관련 대출 부실지표를 살펴본 결과 2011년 저축은행 PF대출 부실사태 이후 가장 심각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양 의원은 최근 태영건설 사태로 관련 업체들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특히 2금융권의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이 1년 새 3배로 치솟았다고 밝혔다.
양 의원이 이날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전체 금융권(은행+비은행)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608조5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인 2022년 3분기(580조8천억원)보다 4.8%, 2년 전 2021년 3분기(497조6천억원)보다 22.3% 늘어난 수치다.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 잔액도 작년 3분기(115조7천억원·492조8천억원)가 가장 많았다.
2년 사이 비은행권(저축은행·새마을금고 제외 상호금융조합·보험사·여신전문금융회사 합산)의 부동산업 대출 잔액이 155조원에서 193조6천억원으로 24.9% 급증했다.
두 업종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빠르게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3분기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각 5.51%, 3.99%에 달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또 2022년 3분기(1.77%·1.55%)와 비교해 1년 사이 각 3.1배, 2.6배로 늘어났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의 경우 저축은행에서 건설업이 7.34%, 부동산업은 5.97%로 집계됐다. 1년 전(2.20%·2.52%)의 3.3배, 2.4배 수준이다.
부동산업은 2018년 4분기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고, 건설업은 2013년 1분기(35.36%) 이후 10년 6개월 만의 최고였다.
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연체율(0.58%·0.15%)은 2015년 3분기(3.65%), 2010년 3분기(2.63%) 이후 각 8년, 13년 만에 가장 높았지만 수준 자체는 당시와 큰 차이가 있었다.
은행권의 두 업종 고정이하여신비율(0.92%·0.27%)도 2011년 1분기(10.23%), 2010년 3분기(6.35%) 이후 약 13년 만에 최고 수준이었으나 연체율 자체는 당시에 비해 크게 낮았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