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닫기
검색

뉴스콤

메뉴

뉴스콤

닫기

올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수지 45.3억달러 적자...전기비 7.7억달러 적자폭 확대 - 한은

김경목 기자

기사입력 : 2025-09-17 12:00

올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수지 45.3억달러 적자...전기비 7.7억달러 적자폭 확대 - 한은
[뉴스콤 김경목 기자] 올해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작년 하반기보다 7.7억달러 확대됐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중 지식서비스 무역수지는 수출이 197.1억달러, 수입은 242.4억달러로 45.3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한은 경제통계1국 국제수지팀 박성곤 팀장은 "정보·통신서비스(19.6억달러) 및 문화·여가서비스(4.4억달러)에서 흑자를 나타낸 반면, 전문·사업서비스(-44.8억달러) 및 지식재산권 사용료(-24.5억달러)에서 적자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정보통신업(16.4억달러)에서 흑자, 제조업(-24.7억달러) 및 디지털 중개 플랫폼(-22.0억달러) 등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기관형태별로 중견기업(9.3억달러)은 흑자, 대기업(-37.5억달러) 및 디지털 중개플랫폼(-22.0억달러)은 적자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아시아 지역(35.7억달러)은 흑자, 북미(-37.7억달러) 및 유럽 지역(-21.8억달러) 등에서는 적자를 기록했다.

ICT 산업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중 ICT 산업의 지식서비스 무역수지는 수출이 63.7억달러, 수입은 48.0억달러로 15.7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정보서비스업(-5.5억달러) 등에서 적자를 나타낸 반면, 게임소프트웨어개발 및 제작업(21.6억달러)를 중심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콘텐츠 산업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중 콘텐츠 산업의 지식서비스 무역수지는 수출이 57.8억달러, 수입은 32.8억달러로 25.1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식정보산업(-8.3억달러) 등에서 적자를 나타낸 반면, 게임산업(22.6억달러) 및 음악산업(5.9억달러)를 중심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박 팀장은 "정보, 통신서비스 수지가 전기전자 제품 제조업의 수출이 크게 늘면서 반기기준 흑자폭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며 "이러한 호조에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적자가 확대된 것은 최근 제조업에서 해외 R&D 관련 산업재산권과 전문사업 서비스 이용이 확대되고 개인들의 글로벌 앱스토어 구매와 OTT 구독 등이 늘면서 지식재산권 사용료와 전문사업 서비스의 수입이 수출보다 더욱 크게 늘어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해외 R&D 관련 산업재산권과 연구개발 등 전문사업 도입이 크게 늘어난 것은 제조업 업황 개선에 따른 생산 및 투자의 확대 우리기업들의 글로벌 경쟁 강화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이라며 "예를 들자면 우리나라 대표 수출품목인 전기전자 자동차 기업을 중심으로 첨단제품 설계제조를 위해 해외특허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면 현지화, 기술혁신, 우수인재 및 새로운 시장확보 등을 위해 글로벌 R&D센터와의 협력, 해외 광고 및 홍보활동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