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김경목 기자]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30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완강하게 나오는 국가 관세는 원래 수준으로 복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상호 관세 면제 조치가 연장될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에 "그것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달려 있다"고 답하며 "어떤 국가에 대해서도 가능하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18개 주요 무역국 중 몇 개국과의 협상을 7월 9일 전에 마무리할 수 있을지 묻는 질문에 "한번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 주에 접어들수록 압력이 증가하고 협상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우리와 성실히 협상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그들의 저항으로 인해 결론을 내리지 못한다면 4월 2일로 돌아갈 수밖에 없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다만 일주일 후인 4월 9일, 주요 무역 파트너들과의 무역 협상을 진행하는 동안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상호 관세 유예 조치는 7월 8일까지 유효하며, 그 전에 협상이 최종적으로 마무리되지 않으면 7월 9일부터 상호 관세가 다시 부과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7일 오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일주일~열흘 안에 교역국들에 관세율을 담은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9일 팍스뉴스 인터뷰에서 "기본적으로 지금 바로 진행하는 것을 지지한다. 우리는 모든 국가들에게 서한을 발송해 설명할 것"이라며 "해당 국가와의 무역 적자나 기타 문제를 검토할 것이다. 해당 국가가 우리를 어떻게 대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일부 국가에는 신경 쓰지 않고 높은 관세율을 통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