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닫기
검색

뉴스콤

메뉴

뉴스콤

닫기

[코멘트] 텐센트, AI가 견인할 실적 성장 - 대신證

장태민 기자

기사입력 : 2025-03-20 14:47

[뉴스콤 장태민 기자] * 매출 11% 성장, 조정 영업이익 21% 성장, 컨센 상회

* 게임, 광고, 핀테크&클라우드 전 부문 모두 서프라이즈

* AI 모델 강화가 광고, 클라우드, 게임, SNS 등 전사 매출 성장 견인

<4Q24 Review: 전 부문 실적 서프라이즈>

매출액 1,725억 위안, 11% YoY. 컨센 2% 상회. 조정 영업이익 595억 위안, 21% YoY, 조정 순이익 553억 위안, 30% YoY, 컨센 4% 상회

1) 국내 게임 매출 23% YoY, 해외 게임 15% YoY. 국내 게임은 전년 기저 및 HoK, VALORANT 등 인기 대작의 기여로 성장률 반등, 게임 인기 대작(evergreen 게임) 포트폴리오 2023년 12개에서 14개로 증가. 2) 광고 17% YoY, AI 모델을 통한 광고 타겟팅 강화로 숏폼 영상 광고 매출 60% YoY, 위챗 검색 광고 매출 2배 증가,

광고 성장 지속 견조. 3) 핀테크&비즈니스 3% YoY, 지급결제 부문은 결제 거래량 증가에도 거래 단가 하락으로 전년대비 유사한 수준 기록, 전분기 역성장에서 회복된 점 긍정적, 클라우드는 이커머스 기술서비스 수수료 성장, WeCom(기업용 위챗) 매출 2배 성장, 텐센트 미팅 매출이 40% 성장하면서 소폭 성장 유지

GPM 52.6%(2.6%p YoY, -0.5%p QoQ), OPM 34.5%(2.8%p YoY, -2.1%p QoQ)

4분기 Capex 366억 위안, 전년대비 +386%, 중국 테크 기업 중 가장 높은 수준

<AI 모델 강화가 광고, 클라우드, 게임, SNS 등 전사 매출 중장기 성장 견인>

텐센트는 자사 AI모델인 훈위안에 딥시크를 연동하면서 AI 기능 강화. 텐센트 챗봇 위엔바오는 딥시크 연동 후 DAU 20배 증가, 중국 AI 앱 3위 달성. 광고 부문은 AI 기반 최적화로 점유율 상승 지속, 현재는 숏폼 영상 광고와 검색 광고 위주로 AI 모델을 도입했지만 향후 위챗 AI Agent 도입 등 전 서비스로 확장할 계획. 게임도 AI를 통한 게임 컨텐츠 개발 가속화 및 게임 유저 매칭 최적화로 AI 수혜 예상, 클라우드는 AI 클라우드 IaaS 서비스 외에도 텐센트 미팅, WeCom, 다큐먼트 등 다수 SaaS에 AI 도입 예정. 중국 SNS 유저수 1위 기업으로 AI에 따른 전사 실적 성장이 가장 기대되는 기업으로 판단. 특히 검색 시장과 이커머스 시장 침투 긍정적 전망

게임은 24년말 이연 매출이 10% 후반 성장, 상반기까지 국내 게임의 낮은 기저를 감안하면 성장 가속화 예상. 광고는 AI 기반 최적화가 성장 견인, 다만 회사는 여전히 광고 로드를 천천히 늘릴 계획으로 10~20% 성장 유지 전망. 클라우드는 1분기까지 AI GPU 서버 설치 지연으로 수요를 전부 충족시키지 못하나 2분기부터 성장 가속화 예상. 핀테크는 내수 경기 회복에 따라 완만한 반등 기대. 2025년 Capex는 매출의 10% 초반(24년 12%)으로 800~900억 위안 예상, 알리바바의 1,300억위안 대비 보수적인 편이나 회사는 AI수요 증가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

AI에 대한 투자 증가에도 주주환원은 지속할 계획, 배당 전년대비 32% 증가한 410억 HKD 및 자사주 매입 800억 HKD 발표, 주주환원율 2.5%(3/19 시총 기준)

12mf P/E 19배로 밸류에이션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 긍정적 전망 유지

(박초아 대신증권 연구원)

[코멘트] 텐센트, AI가 견인할 실적 성장 - 대신證

[코멘트] 텐센트, AI가 견인할 실적 성장 - 대신證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